📌 조선시대 시험 잘 나오는 사건 총정리
📌 임진왜란부터 붕당정치까지! 조선시대 시험에 꼭 나오는 사건만 정리했습니다.
조선시대는 한국사 시험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는 시기 중 하나입니다. 특히 공무원 시험, 한국사 능력검정시험, 임용고시 등에서 조선시대 사건은 반복적으로 출제되므로 철저한 정리가 필요하죠. 지금부터 시험에 잘 나오는 핵심 사건만 모아 총정리해드릴게요!
1. 태종~세종: 중앙집권의 강화
- 태종의 업적
- 6조 직계제 실시
- 호패법 시행
- 사병 혁파
-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제작
- 세종의 업적
- 훈민정음 창제
- 4군6진 개척 → 여진족 견제
- 집현전 운영 → 과학·문화 발전
- 농사직설 편찬 → 농업 기술 정리
📌 이 시기에는 조선의 기틀을 잡는 내용이 출제 포인트입니다.
2. 조선 전기의 외교와 전쟁
- 사대외교 : 명나라 중심의 외교체제
- 쓰시마섬 정벌 (세종)
- 임진왜란 (선조)
- 1592년,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침략
- 이순신 장군의 활약 (한산도 대첩 등)
- 훈련도감 설치
- 병자호란 (인조)
- 청나라의 침입, 삼전도의 굴욕
- 외교 실패와 군사 대비 부족
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은 필수 암기사항! 출제율 매우 높습니다.
3. 조선 후기의 사회·정치 변화
- 붕당 정치의 전개
- 동인 vs 서인 → 남인, 북인 등 분화
- 예송논쟁 (1차: 서인 승, 2차: 남인 승)
- 탕평책 시도 (영조, 정조)
- 세도 정치
- 순조~철종, 안동 김씨 등 외척의 권력 독점
- 삼정의 문란 (전정, 군정, 환곡)
- 조선 후기 개혁 시도
- 정조 : 규장각 설치, 초계문신제
- 흥선대원군 : 경복궁 중건, 서원 철폐, 통상수교거부 정책
📌 붕당정치와 세도정치는 시험에서 고난도 문제로 자주 나옵니다.
4. 조선 말기의 개혁과 저항
- 갑신정변 (1884)
- 급진개화파의 3일천하
- 실패 후 청의 간섭 강화
- 동학농민운동 (1894)
- 전봉준 주도, 탐관오리 숙청
- 반봉건 + 반외세 운동
- 이후 갑오개혁으로 이어짐
- 을미사변 (1895)
- 명성황후 시해 사건 → 반일 감정 격화
📌 근대로 가는 과도기적 사건들로, 근현대사 연결 문제에 자주 등장합니다.
마무리 TIP 💡✅ 조선시대는 기출문제 분석 + 연표 정리 + 주제별 흐름 파악이 핵심입니다.
특히 임진왜란, 붕당정치, 동학농민운동은 매년 반복되는 필수 테마!
-
- 시험 유형조선시대 출제 비중
공무원 한국사 약 40% 한국사 능력시험 약 50% 임용고시 약 60%
- 시험 유형조선시대 출제 비중
반응형
'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선시대(1392~1897) 꼭 알아야 할 역사적 사건 (1) | 2025.03.27 |
---|---|
중학생이 꼭 알아야 할 역사적 사건 (1) | 2025.03.27 |
중학교 역사 요약집 (1) | 2024.09.01 |
중학교 3학년 2학기 기말고사 대비를 위한 역사 문제 10개 (3) | 2024.08.30 |
대한민국의 역사를 형성한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 (0) | 2024.06.22 |